나는 누구인가?
이글은 현열이가 10학년때 뉴욕중앙일보와 평통이 중고등학생부터 대학생들까지 망라한 에세이 콘테스트에서 대상을 받은 작품이다.
부모님으로부터 온 두툼한 봉투 안에는 나의 생일 선물인 태극기와 성조기가 들어 있었다. 엑시터 기숙사에 있는 친구들은 자기 모국의 국기를 걸어 놓고 애국심을 나타 내는데 나도 그러고 싶었다. 그날이 저물 무렵, 두 국기 중 하나가 내 방벽을 차지했다.
얼마 전, 나는 한 어린 한국소년을 입양한 어머니에게 그 아이에 대해서 가장 큰 걱정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그녀는 그 아이가 입양의 개념을 헤아리게 될 때 한국의 전통유산에 대해 모른다면 미국 생활을 하기 어려울 거라고 힘주어 말했다. 그 아이는 미국 역사책들을 섭렵한다고 해서 그와 내가 공유하는한국의 뿌리를 부인할 수 없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나의 선조들은 주변이 물리적인 경계외에 풍부한 문화와 독특한 역사로 형성된 땅인 한국에서 살다가 목숨을 다했고 그들의 몸을 묻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의 전통유산이 내가 바꿀 수 없는 고유한 성격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최근 모국방문에서 나의 어색한 한국말 억양은 현지인들에게 내가 해외에서 왔다는 것을 금방 감지하게 했다. 우리의 같은 전통유산은 나의 이국적인 행동으로 가려지는 듯했다. 미국의 동포사회는 나를 부산항 부두의 아침공기 내음에 노출시킬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서울거리를 걸어다니는 수백 만 명의 비즈니스맨들과 친숙하게 할 수도 없었다. 내 조국이라고 생각했던 나라에서 나는 여행객이 된 느낌을 받앗다. 그런데 그때 내가 왜 그러한 불일치에 대해 마음이 쓰였을까? 내가 미국에서 16년을 보냈고 미국인으로서 행동했던 것이 자랑스러웠다고 단순히 생각해 보자. 그러나 내가 일찍이 그러한 자긍심을 느꼈는지 궁금했다.
중학교 시절을 보내면서, 백인 친구들과 나 사이에는 비슷한 점보다는 다른 점들이 더 많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그 다른 점들은 눈에 보이는 것이나 그렇지 않은 것이건 간에 늘 조롱하는 말과 함께 했다. 그들의 모욕적인 언사는 내가 동료들이 느끼는 미국에 대한 소속감을 공감할 수 없게 하였다. 나는 미국인으로 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느낄 수 없었다. 그래서 본능적으로 나 자신을 한국인으로 포장하기 시작했다. 때로는 그냥 다른 무언가가 이런 결정을 내리게 했던 것 같다. 아마 내가 다른 한국인들과 함께 있을때 내 불안감을 덜어주었던 힘과 같은 것으로 부터 영향 받았을 것이다. 어쩌면 하늘은 내가 단순히 한국계 미국인이기 보다는 한 명의 주미 한국대사임을 강조하면서 운명의 여신이 나를 어디로 몰고 가던지 간에 내가 한국인 임을 설득력있게 선포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나는 ‘한국계 미국인’이라고 쉽게 요약할 수 없는 새로운 한 부류에 속한다고 믿는다. 한 나라의 역사와 다른 한 나라의 미래에 대한 책임에 직면하면서, 내가 살고 있는 이 나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내 부모가 떠나 온 나라에 대해서도 나 자신을 가르쳐야 한다. 내 삶은 미국 땅에 뿌리를 내렸지만 내 마음은 아직도 한반도에 머무르고 있다. 나는 아직 내가 누구라는 것을 표현할 능력이 없다. 하지만 나는 잠에서 깨어나 태극기를 보게 되는 아침마다, 내 존재에 대해 깊이 되새겨 보면서 방문을 나선다.
(부모님은 나와 두 나라의 관계를 생각하게끔 한국과 미국의 국기를 보내 주셨지만, 나는 동료들이 하는대로 나의 뿌리를 나타내는 국기를 벽에 걸고, 미국에 대한 애국심은 내 마음을 통해 나타내기로 했다.)
Who am I?
Not long ago, I asked the mother of a young, adopted Korean boy about her biggest concern for the child. She fervently explained that when it comes time for him to learn about his adoption, he will have to understand his Korean heritage before assuming a life in America. He needs to comprehend that learning volumes of American history will not negate the true past he and I share in Korea. Until recently, my ancestors lived, died, and had their bodies buried in Korean soil, a land whose periphery is not merely composed of physical boundaries, but a rich culture and unique history. These confines remind me that whether I like it or not, my heritage is an unchangeable, inherent trait.
On a recent trip to the motherland, my faulty Korean accent immediately disclosed to the natives that I was from overseas. Our similar heritage seemed to be obscured by my alien behavior. Korean circles in America could not have exposed me to the smell of morning air by the fishing docks in Pusan, nor acquainted me to the millions of businessmen walking the streets of Seoul. I felt like a tourist in the country that I had thought was my own. But then again why should I have cared about my incongruence? Simply put, I’d spent sixteen years in America and was proud to act as an American. However, I wondered if I had ever truly felt that “pride” before.
During my middle school days, time surfaced more of the dissimilarities between my Caucasian peers and me. These differences, whether physical or cultural, could not coexist without jeering remarks. Each insult told me that I would never feel the same sense of belonging in America as my peers. I suppose I never felt what it meant to be American. Therefore, I began to instinctively brand myself as “Korean.” Sometimes, I can’t help but think that maybe, just maybe, something else had caused this decision. Perhaps it was influenced by the same force that alleviates my anxiety when I’m with other Koreans. Maybe the universe was unfolding and is still now, eloquently declaring that I am Korean regardless of where the winds of life take me, while emphasizing that I’m less of a Korean-American than I am a Korean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I believe that I am part of a new breed of people that cannot be easily summed up in the phrase “Korean-American.” Faced with the responsibility of one nation’s history and another’s future, I must educate myself about the country my parents left behind while positively impacting the country in which I currently live. My life may be rooted in American soil, but my heart still dwells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is day, I am still incapable of conveying who I am in words. However, every morning when I wake up and see the Korean flag(*), I know how to convey myself with actions.
* Although my parents sent me the two flags to remind me of my relationship to both countries, I followed in my peers' footsteps by displaying my cultural flag on my wall and my patriotism towards America through my heart.